Radiometry 3

복사량과 광량의 변환 관계

Radiometry vs. Photometry ​ 앞선 포스팅에서 복사량과 광량의 차이가 무엇인지 살펴보았습니다. 간단하게 말하자면 복사량은 에너지 세기, 광량은 밝기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. 즉, 복사량은 센서로 측정한 복사에너지, 광량은 사람의 눈이 느끼는 빛의 밝기 로 얘기할 수 있습니다. 밝기라는 것은 사람이 인지하는 밝기를 의미하므로 당연히 광량은 가시광 대역에서만 정의되는 단위입니다. 반대로 복사량은 모든 파장 대역에서 합산한 에너지의 총량입니다. ​ 복사량은 radiometer (복사계)로, 광량은 photometer(광도계) 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. 특정 파장 대역에서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으면 spectroradiometer(분광복사계) 혹은 spectrophotometer(분광광도계) 라..

전자광학 2021.03.23

밝기의 단위 - 광량 (Photometry)

지난 포스팅에서는 복사량의 단위를 계산하는 radiometry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 Radiometry와 Photometry...영상처리나 비전, 컴퓨터 그래픽스를 공부하면서 한 번쯤은 들어봤음직한 용어지만 제대로 구분하여 부르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. 이 둘 의 차이점은 무엇이고 우리는 어떻게 구분하여 사용해야 할까요? 사전적 의미를 미루어 짐작해보면 radiometry는 복사량 측정과 관련된 내용이고 photometry는 광량을 측정하는 내용인듯 합니다. 우선, 두 용어의 차이를 알아보죠. Radiometry와 Photometry의 차이 Radiometry는 전자기파의 모든 범위(모든 파장대)에서의 빛의 양(복사량)을 측정하는 반면, Photometry는 사람의 눈이 인지할 수 있는 범위(가시광선..

전자광학 2021.03.20

복사 에너지의 단위 - 복사량 (radiometry)

앞선 흑체복사 포스팅에서 얘기했듯이 온도를 가진 모든 물체는 에너지를 방사합니다. 또한 흑체가 아닌 회색체, 백체는 입사한 빛 에너지를 반사합니다. 즉, 우리가 물체를 볼 수 있는 이유는 방사(radiation) 혹은 반사(reflection)한 빛이 우리 눈으로 들어오기 때문입니다. 여기서 방사 혹은 반사된 에너지를 복사 에너지라고 합니다. 그렇다면 이러한 복사 에너지는 어떻게 측정하고, 그 단위는 어떻게 될까요? 이 것을 radiometry라고 합니다. 오늘 주제는 radiometry 입니다. Radiometry는 딱히 우리말로 표현하자면 복사량 측정법? 이 정도로 나타낼 수 있는데 그냥 Radiometry 라고 부르는게 내용과 더 잘 어울리겠네요. 굳이 번역하자면 Geometry를 기하학이라고 하듯..

전자광학 2021.03.12